본문내용 바로가기
닫기
길 위의 인문학 & 지혜학교
[지혜학교] 영화로 철학하기
  • 접수 기간
    2025-07-16 ~ 2025-07-31
  • 교육 기간
    2025-08-02 ~ 2025-10-18
  • 교육 시간
    매주 토 14:00 ~ 17:00
  • 교육 장소
    다목적 강의실(7층)
  • 정원
    30명
  • 회차
    12
  • 수강료
    0원
  • 강사
    김범수
교육내용
커리큘럼
 
회차 프로그램 주제 교육내용
1 언어, 이미지, 시뮬라크르의 사유 철학은 개념을 창안하는 과정이며, ‘질 들뢰즈는 이를 강조했다. 철학을 이미지와 언어를 통해 어떻게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.
2 영화 <중경삼림>과 르페브르의
<현대 세계의 일상성>
왕자웨이의 영화 <중경삼림>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고, 여기서 도출된 문제를 르페브르의 시선으로 접근해 본다.
3 영화 <라스베가스를 떠나며>와 바타유의
<에로티즘>
조르주 바타유는 금기 위반이 물상화가 아닌 인간다운 모습이라고 주장한다. 이 를 영화 <라스베가스를 떠나며>를 통해 살펴본다.
4 영화 <프레스티지>와 자아 동일설 영화 <프레스티지>에서 보이는 자기복제를 통해 인간 존재와 정체성의 본질을 탐구한다.
5 영화 <컨테이젼>과 바이러스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우리는 코로나19 시대를 경험했다. 어떻게 바이러스를 철학적으로 규정할 수 있을까? 이를 베르그손들뢰즈의 철학적 사유로 규정해 본다.
6 영화 <올드보이>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영화 <올드보이>에서 근친상간이 등장하는 이유를 정신분석학적 시각에서 탐구한다. 이를 통해 프로이트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해당 주제를 분석한다.
7 영화 <가족의 탄생>과 엥겔스의
<가족, 사유재산, 국가의 기원>
현대 사회는 핵가족이 가족의 기본 단위가 되었다. 하지만 출산율이 저하되면서 새로운 가족 제도가 탄생했다. 이 현상을 전통적인 가족 제도의 변모와 함께 살펴본다.
8 영화 <위플래쉬>와 재즈의 탄생 최초의 대중음악은 어떻게 탄생했을까? ‘에릭 홉스봄의 의견처럼 재즈는 가장 저속했던 흑인들에게서 만들어져서 주류에 편입된 극히 보기 드문 사례로 보인다. 이 과정을 철학적으로 규정한다.
9 영화 <시카고>와 스윙재즈 1920년대는 완벽한 자유방임주의 시대이다. 이 안에서 그려지는 욕망은 스윙재즈라는 히트 상품을 탄생시켰다. 이 당시의 시대정신을 재즈와 함께 설명해 본다.
10 영화 <백투더퓨처>와 로큰롤의 탄생 로큰롤 문화는 백인들의 문화로 오해할 수 있지만, 실제로는 흑인들이 만든 문화이다. 이를 거부해야 했던 주류의 관점은 로큰롤을 악마화시켰다. 그럼에도 당시 청년들은 로큰롤을 하위문화로 만들면서 저항했다.
11 영화 <예스터데이>와 브리티쉬 인베이젼 1960년대는 히피의 시대이다. 이 시대 하위문화로 자리 잡은 히피 문화를 비틀스’, 록 음악과 함께 철학적으로 이해한다.
12 영화 <보헤미안 랩소디>와 소수자 <보헤미안 랩소디>프레디는 보헤미안의 상징인 프란츠 카프카와 유사한 점이 있다. 토론을 통해 카프카적 존재의 특징과 프레디의 삶에서 나타나는 그들의 유사성을 심도 있게 탐구한다.
 
부탁의 말
강사 프로필
활동기간 기관명 교육/활동명
(세부내용)
~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강사
~ 청주대학교 교양대학 강사
열기 닫기
위로가기